• 기업
  • LED전광판
  • 기획기사

스몰피치 LED 시장, 1㎡당 1만 위안 이하로… 2025년 상반기 중국 시장 핵심 정리

2025년 상반기 중국 스몰피치 LED 시장 분석: 출하 증가·매출 감소… 평균가 첫 1만 위안 이하로 하락

2025년 상반기 중국 스몰피치(Small Pitch) LED 디스플레이 시장은 출하량은 증가했지만 매출 규모는 감소하는, 이른바 ‘량증액감(量增额减)’ 구조가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시장 평균 단가가 사상 처음으로 1㎡당 1만 위안(약 190만 원) 이하로 내려가면서, 기술·가격·시장 구조 전반에 걸쳐 중요한 변곡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본 글은 RUNTO의 시장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1. 시장 규모: 출하 증가, 매출 감소

2025년 상반기 중국 스몰피치 LED 시장의 핵심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액: 56억 위안(약 1조 640억 원)
 • 출하 면적: 55만 m²(+4.5%)
 • 매출 변화: –16%
출하 면적은 증가했음에도 시장 평균 단가가 하락하면서 매출이 감소하는 구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 평균 단가, 처음으로 ‘1만 위안’ 이하로 하락

2025년 2분기 기준 스몰피치 LED의 시장 평균 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0.98만 위안/㎡ (약 186만 원/㎡)
 • 전 분기 대비 –8.1%
중국 내 가격 경쟁이 장기화되면서 단가 하락 폭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상류는 가격 인상, 하류는 가격 인하… 산업 전반이 이중 압박을 받는 구조

중국 주요 패키징·소재 기업들은 최근 5~10% 가격 인상을 공지했습니다.
이는 금·은·구리 등 핵심 원자재 가격이 25~35% 상승한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LED 완제품 제조사는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해 이러한 원가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면서, 상류·중류·하류 모두가 압박을 받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RUNTO는 최근 수년간 업계 평균 마진율이 약 50% 감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4. 제품 구조의 변화: 더욱 촘촘한 Pitch, COB 중심으로 이동

● 화소 Pitch의 미세화
  - P2.5~2.1: 18.1%로 하락
  - P2.0~1.7: 31.5%로 확대
  - P1.4~1.1: 28.1%로 증가
  - P1 이하 초미세 Pitch 제품: 2.5% 이상 
시장 전반이 고해상도·초미세 Pitch 제품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습니다.

● COB 기술의 비중 확대
2025년 상반기 COB 제품의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판매 비중: 36.6%
 - P1.4 이하 구간: 51.5%
중국 스몰피치 시장은 빠르게 SMD → COB 중심 구조로 재편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5. 응용 시장의 변화: 교육·문화·전력 분야에서의 수요 확대

 • 수요가 감소한 분야 : 정부·공공 프로젝트, 금융·소매·일반 상업 분야
 • 성장세를 보인 분야 : 군, 디지털에너지(전력 관제), 교육 디지털화, 문화/스포츠/관광

특히 문화·상업 공간에서는 외벽 미디어 스크린, 미디어 파사드, 창의적인 모양의 LED 등이 방문 동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핵심 콘텐츠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6. 2025년 연간 전망

RUNTO는 2025년 전체 시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 총 매출: 128억 위안(약 2조 4,300억 원), –10.5%
 • 출하 면적: 125만 m² 이상, +9.8%
즉, 출하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으로 매출 압박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7. 한국 시장에 미칠 영향

중국 스몰피치 LED 시장의 변화는 한국 시장에도 여러 방면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① 국내 도입 단가의 추가 하락 가능성
중국 LED 단가 하락은 한국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같은 예산으로도 더 고해상도·더 고성능 제품을 도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현재의 원·위안 및 원·달러 환율 추세로 보았을 때 한국 시장에서 단가 하락의 체감은 제한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② 국내 시장의 COB 전환 속도 가속화
중국 제조사들이 COB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국내에서도 기존 SMD/GOB 제품에서 COB 제품으로 빠르게 대중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③ 초미세 Pitch·창의형 LED의 도입 확대
복합 쇼핑몰·전시·브랜드관 등에서는 P1 이하 초미세 Pitch + AI 기반 콘텐츠 + 창의적인 폼팩터 연출의 도입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④ 중소 SI업체의 경쟁 구조 변화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 SI업체들은 설계 품질·유지보수·콘텐츠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을 다각화하는 방향으로 경쟁력이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