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이야기

추천

  • 기업
  • LED전광판
  • 기획기사

세계 최대 LED전광판 전시회! ISLE2025 참관 후기 : LED전광판 최신 트렌드

ISLE 2025란? ISLE (International Signs & LED Exhibition) 2025는 중국 심천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LED 전광판,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디스플레이 관련 전시회입니다. 매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계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로, LED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디지털 사이니지 기업, 광고 솔루션 제공업체 등이 대거 참여합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Absen, Unilumin, Leyard, LianTronics, Ledman, Qiangli, Yaham 등 세계적인 LED 디스플레이 업체들과 BOE, Hisense, Skyworth 등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참가했으며, 8만㎡ 이상의 전시장 규모와 1,000개 이상의 전시 부스에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선보였습니다. 특히, 최신 Micro LED, COB LED, 플렉서블LED, 키네틱LED, 투명 LED, AI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등 혁신적인 제품들이 대거 전시되며 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이디플은 22만명이 방문한 이번 ISLE 2025를 직접 참관하며 LED 전광판 시장의 혁신적인 변화와 상업용 디스플레이 산업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ISLE 2025에서 주목할 만한 LED 디스플레이 트렌드 1. 초고해상도 MIP & COB 디스플레이 대세화 기존의 SMD 방식에서 한 단계 발전한 COB (Chip on Board) 및 MIP(Micro LED In Package) 기술이 초고해상도 LED 전광판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P0.9 이하의 초미세 픽셀 피치 제품들을 다수 선보이며, 실내 LED전광판 시장에서 주목받았으며, Absen, Leyard, Unilumin, LianTronics, BOE, Hikvision, skyworth 등 주요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사들이 Micro LED, COB 제품을 전시회에 선보였습니다. Micro LED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생산적, 경제적 과제들이 있으며, 실질적인 대중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Micro LED : OLED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으며, 고휘도, 긴 수명, 낮은 전력 소비가 강점으로 꼽힘.    - COB LED 모듈 : 별도의 보호막 없이 칩이 기판에 직접 부착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색 균일성과 명암비가 우수함. 2. LED전광판의 창의적인 디자인 ISLE 2025에서는 LED 모듈을 활용한 창의적인 디스플레이 디자인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직사각형 LED 디스플레이를 넘어서, 곡선형, 원형, 물결 모양(Wave LED), 구형(Sphere LED), 키네틱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등장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있었습니다. ★ 플래그쉽 매장 및 고급 상업 공간 등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거나 독창적인 디스플레이 효과를 원하는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옵션!!! 3. 다양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기술 소개 ISLE 2025에서는 투명 LED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기술 유형이 소개되었습니다. 단순한 성능 향상이 아니라, 필름 타입, Mesh 타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투명 LED 기술이 전시되었습니다. .  투명 LED는 해상도는 낮지만 밝기 측면에서는 투명 OLED 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있는 곳이거나 외부 표출이 필요한 쇼윈도 환경에서는 더 좋은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 매장 쇼윈도, 건물 외벽, 무대 연출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 가능한 투명 LED!! LED전광판 도입을 고민하고 계신다면? 하이디플에서 최적의 LED 전광판 솔루션과 파트너사를 찾으세요!  

  • 문화/공공
  • LED전광판
  • 기획기사

인스파이어 리조트 ‘오로라’, 개장 1년 만에 500만명 돌파 – 디스플레이와 미디어아트의 힘

최근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의 몰입형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거리 ‘오로라’가 개장 1년 만에 방문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관광 명소가 아닌, 디스플레이와 미디어 아트 콘텐츠가 결합되었을 때 어떤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디스플레이와 아트가 결합된 새로운 경험 공간 ‘오로라’는 LED 디스플레이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활용하여 방문객들에게 압도적인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초대형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환상적인 시각적 연출을 선보이며, 자연의 빛을 대신한 디지털 풍경을 연출하여 마치 다른 공간에 온 듯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SNS에서 자연스럽게 공유되며, 입소문을 통해 방문객 수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500만 방문객을 돌파한 비결은? 오로라의 성공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초대형 LED 디스플레이 기술 활용 초대형 LED 스크린을 활용한 미디어 쇼는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콘텐츠는 재방문을 유도하며, 공간 자체가 하나의 살아있는 예술 작품처럼 변화합니다. 압도적인 비주얼 콘텐츠 오로라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초현실적인 풍경을 연출하여 방문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주제와 스토리를 반영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는 오로라의 공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줍니다.   - 언더 더 블루랜드 (Under the Blueland): 약 3분 길이의 메인 영상으로, 미지의 섬을 찾아 나서는 여정을 담았습니다. 바닷속을 자유롭게 유영하는 고래와 형형색색의 해양 생명체들을 통해 마치 초대형 아쿠아리움 아래에 서 있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이 영상은 매일 오전 8시 30분부터 자정까지 30분 간격으로 반복 재생됩니다.   - 오로라 익스프레스 (Aurora Express): 약 3분 길이의 쇼 영상으로, 오로라 특급열차를 타고 인스파이어에서 열리는 매지컬 페스티벌로 떠나는 여정을 총 4막에 걸쳐 역동적이고 드라마틱한 뮤지컬 음악과 함께 화려한 비주얼로 담아냈습니다. 이 쇼는 오전 8시 30분부터 자정 사이 매시 정각에 상영됩니다.   - 코즈믹 오디세이 (Cosmic Odyssey): 우주를 배경으로 한 미디어아트 쇼로, 관객들에게 신비로운 우주 여행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소셜 미디어 바이럴 전략 화려한 디지털 콘텐츠와 몰입형 경험을 통해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SNS에 공유하도록 유도하여, 오로라의 인지도를 확장하고 방문 유인을 극대화했습니다. 오로라의 구축 업체 및 기술 사양 오로라의 환경은 현대퓨처넷이 구축하였으며, 디스플레이 기술과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활용해 방문객들에게 환상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업체 : 현대퓨처넷 (하드웨어 설계/구축, 콘텐츠) 오로라 공간 크기 : 총 면적 6,420㎡, 천장 LED 크기 길이 150m, 높이 26m 디스플레이 종류 : LED전광판 픽셀 피치(Pitch) : 천장LED 6.6mm 디스플레이와 미디어아트의 미래 ‘오로라’의 성공은 단순한 관광 명소의 흥행을 넘어,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미디어아트가 결합될 때 도시와 공간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몰입형 디지털 공간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며, 국내에 공간을 혁신하는 사례들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문화/공공
  • LED전광판
  • 기획기사

라스베가스의 초대형 LED 스피어(Sphere): 세계 최대 규모의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경험과 기술적 비하인드

라스베가스의 초대형 LED 스피어(Sphere): 세계 최대 규모의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경험과 기술적 비하인드 라스베가스는 언제나 화려한 쇼와 혁신적인 기술로 전 세계 관광객들을 사로잡아 왔습니다. 그러나 MSG Sphere(스피어)의 등장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넘어, 미래형 몰입형 경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개장한 이 거대한 구형 LED 구조물은 세계 최대의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전례 없는 비주얼과 사운드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외부와 내부를 덮고 있는 초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와 최첨단 음향 시스템이 결합해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시각·청각적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SG Sphere의 압도적인 기술력과 이를 구축한 글로벌 기업들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세계 최대의 LED Sphere 개요 위치: 미국 라스베가스 스트립 근처, 베네시안 리조트 인근 개장일: 2023년 9월 29일 높이: 112m (약 37층 건물 높이) 폭: 157m 관객 수용 인원: 18,600명 제작 비용: 약 23억 달러(한화 약 3조 원) 운영사: Madison Square Garden Entertainment (MSG 엔터테인먼트) MSG Sphere는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의 구형 LED 디스플레이를 갖춘 공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내부에는 16K 해상도의 초대형 곡면 LED 스크린과 첨단 3D 사운드 시스템이 장착되어, 관객들은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엔터테인먼트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스피어의 핵심 기술 1. 외부 LED 디스플레이 MSG Sphere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건물 외부 전체를 덮고 있는 초대형 LED 스크린(엑소스피어, Exosphere)**입니다. 제작사: SACO Technologies (캐나다) 크기: 5만 4,000㎡ (축구장 7개 크기) 픽셀 수: 5억 8천만 개 해상도: 16K급 이상의 초고해상도 이 스크린은 360도 전 방향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표현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낮에도 선명하게 보이는 초고휘도 LED가 사용되었으며, 시간대와 행사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우주, 바닷속, 광고 등)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 거대한 스크린을 활용해 초대형 디지털 광고를 송출할 수 있으며, 애플, 코카콜라, NFL, 포르쉐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2. 내부 16K LED 디스플레이 MSG Sphere 내부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곡면 LED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제작사: SACO Technologies (캐나다) 콘텐츠 처리 및 영상 프로세싱: 7thSense (영국) 화면 크기: 15,000㎡ 해상도: 16K x 16K 비율: 270도 이상의 시야를 커버하는 몰입형 곡면 스크린 이 스크린은 기존 영화관 스크린과 차원이 다른 초고해상도 영상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7thSense의 실시간 영상 처리 기술 덕분에 관객들은 완벽한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주요 콘텐츠 "Postcard from Earth" (대런 아로노프스키 연출): 스피어 전용 몰입형 영상 콘텐츠 U2 라이브 공연: 초고해상도 비주얼과 음악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콘서트 3. 첨단 3D 오디오 시스템: HOLOPLOT MSG Sphere에서는 음향 또한 혁신적인 방식으로 구현되었습니다. 제작사: HOLOPLOT (독일) 스피커 개수: 1만 6천 개 이상의 스피커 배치 기술 특징: 개별 관객 맞춤형 사운드 시스템 HOLOPLOT의 혁신적인 3D 오디오 기술 덕분에, 같은 공간에서도 각 관객이 서로 다른 사운드를 들을 수 있으며, 공연이나 영화에서 저주파 진동을 활용한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 덕분에 MSG Sphere 내부에서는 단순한 소리 전달이 아니라, 공간을 활용한 다차원적인 사운드 경험이 가능해졌습니다.   4. 구조 설계 및 건설: AECOM 제작사: AECOM (미국) 역할: MSG Sphere의 구조 설계 및 건설 MSG Sphere는 지름 157m, 높이 112m의 초대형 구형 구조물이며, 내부와 외부 LED 디스플레이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되었습니다. AECOM은 이를 위해 내진 설계 및 강풍 대응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돔형 스크린 구조물을 완성했습니다. 결론: 기술과 엔터테인먼트가 결합한 미래형 공간 MSG Sphere는 단순한 공연장이 아니라, 미래의 엔터테인먼트를 정의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SACO의 외부 LED 디스플레이: 세계 최대의 초고해상도 스크린 7thSense의 내부 16K 디스플레이: 차세대 몰입형 비주얼 경험 HOLOPLOT의 사운드 기술: 관객 개별 맞춤형 오디오 경험 AECOM의 건설 기술: 초대형 구형 구조물 및 내진 설계 라스베가스를 방문한다면 절대 놓칠 수 없는 필수 체험 공간, MSG Sphere! 한국에서도 곧 이런 멋진 공간이 구축되길 기대해봅니다.

  • 기업
  • 투명 디스플레이
  • 기획기사

[CES 2025] LG전자 투명 OLED 미디어아트!

🚀 CES 2025 – 미래를 만나는 혁신의 장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 CES는 매년 글로벌 기업들이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공개하는 자리로, AI, 로봇, 스마트홈,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래 기술을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이번 CES에서도 다양한 기술과 많은 기업이 주목받았지만, 상업용 디스플레이 측면에서는 LG전자의 투명 OLED 미디어아트가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 ✨ 🌟 LG전자 투명 OLED 미디어아트 –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다! LG전자는 이번 CES 2025에서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대규모 미디어아트를 공개했습니다. 77인치 투명 OLED 28대가 조화를 이루며, 마치 샹들리에 같은 거대한 구조물을 형성했는데요. 투명 디스플레이 덕분에 화면 뒤의 조명과 배경이 그대로 보이면서, 영상과 실내 조명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환상적인 효과를 연출했습니다. 📺 어떤 기술이 적용되었을까? 이번 미디어아트에 사용된 모델은 LG 투명 OLED 기술이 적용된 제품입니다. 💎 ✅ 주요 스펙 화면 크기 : 77인치 투명도 : 45% 이상 해상도 : 4K UHD (3840 X 2160) 재생률 : 120Hz 색 재현율(DCI) : 90% 밝기(APL 25 / 100%) : 600 / 200 nit 📣 마무리 – 미래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LG전자가 CES 2025에서 선보인 투명 OLED 미디어아트는 단순한 디스플레이를 넘어, 예술과 공간을 융합한 새로운 경험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앞으로 투명 OLED 기술이 어떤 공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지 정말 기대되네요! 😊 상업 공간에서의 활용 가능성 프리미엄 매장, 호텔 로비, 전시장, 박물관, 갤러리 등에서 활용하면 단순한 광고 화면을 넘어, 예술과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공간 요소로서 더욱 매력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과제 – 가격과 내구성 77인치 투명 OLED는 현재 대당 가격이 수천만 원에 달하는 고가의 디스플레이로, 소비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격대로 낮아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밝기 기준으로 실내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직사광선 등 사용 환경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전
다음
이전
다음
비즈니스에 맞는 솔루션 검색이 어려우신가요?

솔루션별 키워드를 통해 비즈니스 맞는 솔루션을 찾아보세요.

닫기